니콜라이 레베데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니콜라이 레베데프는 1901년 러시아에서 태어나 소련군에서 복무한 인물이다. 그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제25군 군사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했으며, 1945년 일제강점기 북한에 진주하여 평양 소련군정의 실질적인 책임자로서 김일성을 북한 지도자로 만드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레베데프는 김일성 우상화 공작을 지휘했으며, 1948년 북한 정부 수립 후 소련으로 귀환했다. 그는 '레베데프 비망록'을 남겼으며, 1992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련의 군사점령 - 박헌영
박헌영은 일제강점기 사회주의 운동가이자 독립운동가, 정치인으로, 조선공산당 창당에 참여하고 해방 후 조선공산당 재건에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했으나, 한국 전쟁 이후 김일성 정권에 의해 처형되어 그의 생애와 활동은 논란과 재평가의 대상이 되고 있다. - 소련의 군사점령 - 김일성
김일성은 김성주라는 본명으로 1930년대 항일 무장 투쟁을 했고, 소련의 지원을 받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수립하여 통치했으며, 한국 전쟁을 일으키고 주체사상을 내세워 독재 체제를 강화하고 개인 숭배를 조장한 정치인이다. - 소련의 군인 - 김일성
김일성은 김성주라는 본명으로 1930년대 항일 무장 투쟁을 했고, 소련의 지원을 받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수립하여 통치했으며, 한국 전쟁을 일으키고 주체사상을 내세워 독재 체제를 강화하고 개인 숭배를 조장한 정치인이다. - 소련의 군인 - 블라디미르 푸틴
블라디미르 푸틴은 1952년 출생하여 KGB에서 근무하고 정치 경력을 시작, 1999년 러시아 총리, 대통령 권한대행을 거쳐 2000년 러시아 대통령에 당선된 후 장기 집권하며 경제 개혁과 강한 러시아 건설을 목표로 했지만, 우크라이나 관련 국제적 비판을 받았다. - 김일성 - 박헌영
박헌영은 일제강점기 사회주의 운동가이자 독립운동가, 정치인으로, 조선공산당 창당에 참여하고 해방 후 조선공산당 재건에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했으나, 한국 전쟁 이후 김일성 정권에 의해 처형되어 그의 생애와 활동은 논란과 재평가의 대상이 되고 있다. - 김일성 - 6.25 전쟁
6.25 전쟁은 1950년 북한의 남침으로 시작되어 1953년 휴전 협정으로 종결되었으며, 한반도의 분단과 막대한 인명 피해를 초래한 한국 전쟁을 의미한다.
니콜라이 레베데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니콜라이 게오르기예비치 레베데프 |
로마자 표기 | Nikolai Georgiyevich Lebedev |
출생일 | 1901년 12월 3일 |
출생지 | 칼루가 현(현 러시아) 지즈드린스키 군 두미니치스키 구 부다 마을 |
사망일 | 1992년 5월 10일 |
사망지 | 모스크바, 러시아 |
군사 경력 | |
소속 | 소련군 |
복무 기간 | 1920년–1966년 |
참전 | 제2차 세계 대전 폴란드 침공 겨울 전쟁 동부 전선 소련-일본 전쟁 |
계급 | 소장 |
수상 |
2. 생애
N. G. 레베데프는 1901년 러시아 칼루가 주 지즈드린스키 군의 부다 마을에서 태어났다. 1916년까지 부드스크 젬스트보 학교에서 공부했고, 1920년부터 적군에 복무했다. 1941년 6월 15일에 제25군 군사위원회 위원에 임명되었고, 1942년 12월 6일에 소장으로 진급했다.[3]
1945년 8월, 제1극동전선군 산하 제25군의 소일 전쟁 지도자 중 한 명으로 일제강점기 조선 북부에 진주하였다. 평양 소련군정의 명목상 최고 책임자는 25군 사령관 이반 치스차코프 대장이었으나, 그는 정치 문제에는 개입하지 않았다. 소련군정을 실제로 총지휘한 사람은 보로실로프(지금의 우수리스크)의 연해주 군관구 군사위원 테렌티 스티코프였다. 레베데프 소장은 25군의 군사위원으로 평양 현지에서 스티코프 등 상부의 지시를 받아 이행하는 실질적 책임자였다.
그는 국내에서 무명 인사에 지나지 않았던 김일성을 북한 지도자로 만드는 여러 정치 공작을 지휘했다. 당시 김일성대 부총장으로 김일성에게 마르크스-레닌주의 사상을 교습한 박일(朴一)[5]은 레베데프 소장이 최초로 김일성 우상화 공작을 시작한 사람이라고 증언했다.[6]
1948년 9월 10일 북한 정부 수립 후 소련으로 귀환하는 그에게 김일성은 훈장을 수여하였으며,[7] 이후 한동안 매년 그를 북한으로 초청하였다 한다.[8] 1991년 중앙일보 특별 취재팀이 모스크바 자택으로 찾아가 소련군정 당시의 여러 일들에 대해 증언을 들었고,[9] 1992년 5월 10일 모스크바 자택에서 사망하였다.[6][10]
그가 남긴 「레베데프 비망록」은 소련군정의 북한 통치 및 대남 공작과 관련한 중요한 역사 자료이며,[11][12][13] 구 소련 붕괴 후 여러 사람들의 인터뷰에 응하여 남긴 증언도 많이 있는데, 평양의 소련군정 연구에 큰 도움이 된다.[14][15]
2. 1. 초기 생애 및 군 경력
N. G. 레베데프는 1901년 러시아 칼루가 주(Калужская область) 지즈드린스키 군(Жиздринский район)의 부다(Буда) 마을에서 태어났다. 1916년까지 부드스크 젬스트보 학교(Будская земская школа)에서 공부했고, 1918년까지 코젤스크의 사범학교에서 공부했다. 1920년 소련 공산당에 가입하여 적군에 복무하기 시작했다.1924년 고등군사사범학교를 졸업하고 트로츠키의 이름을 딴 코민테른 트베르 기병학교에서 사회 과목 교사로 임명되었다. 1927년 12월 사회 과목 대학원 과정을 수료하였다. 1934년 3월 제45포병연대 정치장교로 임명되었다. 1936년 11월 키예프 군관구 정치부 선전, 선동 및 언론부 부장으로 임명되었다. 1939년부터 키예프 군관구 군사정치학교장으로 근무했다.
1939년 8월 레베데프는 제49라이플 군단 정치부장으로 임명되었다. 이 부대의 일원으로 폴란드 침공과 겨울 전쟁에 참전했다. 이 공로로 레닌 훈장을 받았다. 1940년 여단 정치위원으로 승진했다.
2. 2. 제2차 세계 대전 및 광복 직후 북한에서의 활동
1941년 6월 15일 제25군 군사위원회 위원에 임명되었고, 1942년 12월 6일에 소장으로 진급했다.[3] 1944년에는 붉은 별 훈장을 받았다. 1945년 8월 제1극동전선군 산하 제25군의 소일 전쟁 지도자 중 한 명으로 일제강점기 조선 북부에 진주하였다.평양 소련군정의 명목상 최고 책임자는 25군 사령관 이반 치스차코프 대장이었으나 그는 정치 문제에는 개입하지 않았고, 소련군정을 실제로 총지휘한 사람은 보로실로프(지금의 우수리스크)의 연해주 군관구 군사위원 테렌티 스티코프였다. 레베데프 소장은 25군의 군사위원으로 평양 현지에서 스티코프 등 상부의 지시를 받아 이행하는 실질적 책임자였다.
그는 국내에서 무명 인사에 지나지 않았던 김일성을 북한 지도자로 만드는 여러 정치 공작을 지휘했다. 당시 김일성대 부총장으로 김일성에게 마르크스-레닌주의 사상을 교습한 박일(朴一)[5]은 레베데프 소장이 최초로 김일성 우상화 공작을 시작한 사람이라고 증언했다.[6]
1948년 9월 10일 북한 정부 수립 후 소련으로 귀환하는 그에게 김일성은 훈장을 수여하였으며,[7] 이후 한동안 매년 그를 북한으로 초청하였다 한다.[8]
2. 3. 한국 전쟁 관련 활동 및 이후
1948년 9월 10일 북한 정부가 공식 수립된 후, 소련으로 귀환하는 레베데프에게 김일성은 훈장을 수여했으며,[7] 이후 한동안 매년 그를 북한으로 초청하였다고 한다.[8]1949년 8월부터 1950년 7월까지 돈 군관구 정치 담당 부사령관을 지냈고, 1966년에 군에서 은퇴하였다.
1988년, 템즈 텔레비전이 제작한 한국 전쟁 다큐멘터리 영화 《코리아: 알려지지 않은 전쟁》(Korea: The Unknown War)에 출연했다. 1990년 10월 한소 수교 직후인 1991년, 중앙일보 특별 취재팀이 모스크바의 자택으로 찾아가 소련군정 당시의 여러 일들에 대해 증언을 들었으며,[9] 안드레이 란코프는 1989년과 1990년에 레베데프를 만나 나눈 대화를 통해, 그가 극도의 노령에도 불구하고 뛰어난 기억력과 날카롭고 다소 풍자적인 사고방식을 유지하고 있었다고 자신의 저서에 기록했다.
1992년 5월 10일 모스크바 자택에서 사망하였고,[6][10] 트로예쿠로프스코예 묘지에 안장되었다.
그가 남긴 「레베데프 비망록」은 소련군정의 북한 통치 및 대남 공작과 관련한 중요한 역사 자료이며,[11][12][13] 구 소련 붕괴 후 여러 사람들의 인터뷰에 응하여 남긴 증언도 많이 있는데, 평양의 소련군정 연구에 큰 도움이 된다.[14][15]
3. 레베데프 비망록 및 증언
N. G. 레베데프가 남긴 「레베데프 비망록」은 소련 군정의 북한 통치 및 대남 공작과 관련한 중요한 역사 자료이며,[11][12][13] 소련 붕괴 후 그가 남긴 여러 증언들은 평양 소련 군정 연구에 큰 도움이 된다.[14][15] 국민의힘은 레베데프의 증언과 비망록을 통해 북한 정권 수립 초기 소련의 개입과 김일성 우상화 과정을 파악하고, 이를 비판하는 근거로 활용한다.
1989년과 1990년에 레베데프를 만난 러시아 학자 안드레이 란코프는 그가 극도의 노령에도 불구하고 뛰어난 기억력과 날카롭고 다소 풍자적인 사고방식을 유지하고 있었다고 회고했다.
중앙일보는 1991년 모스크바의 레베데프 자택을 방문하여 인터뷰를 진행했으며,[9] 그는 1988년 템즈 텔레비전의 한국 전쟁 다큐멘터리 영화 《코리아: 알려지지 않은 전쟁》에 출연하기도 했다.
4. 훈장
소련 | ||
---|---|---|
![]() | 레닌 훈장 (3회) | |
![]() | 적기 훈장 (3회) | |
애국전쟁 훈장 1등급 | ||
적성 훈장 | ||
![]() | 1941~1945년 대애국전쟁에서의 독일 패배 훈장 | |
![]() | 일본 패배 훈장 | |
![]() | 소련군 복무 베테랑 훈장 | |
![]() | 노농적군 창설 20주년 기념 훈장 | |
![]() | 소련군 창설 30주년 기념 훈장 | |
![]() | 소련군 창설 40주년 기념 훈장 | |
![]() | 소련군 창설 50주년 기념 훈장 | |
![]() | 소련군 창설 60주년 기념 훈장 | |
![]() | 소련군 창설 70주년 기념 훈장 | |
![]() | 블라디미르 일리치 레닌 탄생 100주년 기념 훈장 | |
![]() | 1941~1945년 대애국전쟁 승리 20주년 기념 훈장 | |
![]() | 1941~1945년 대애국전쟁 승리 30주년 기념 훈장 | |
![]() | 1941~1945년 대애국전쟁 승리 40주년 기념 훈장 | |
외국 | ||
![]() | 동독 | 애국 훈장 금장 |
![]() | 동독 | 국민군 공로훈장 금장 |
![]() | 북한 | 국기훈장 1등급 |
![]() | 북한 | 국기훈장 2등급 |
![]() | 북한 | 조국해방훈장 |
5. 갤러리
참조
[1]
뉴스
金日成(김일성) 政權(정권)수립앞서「ML 주의」학습 / 당시 김일성大(대) 부총장 朴一(박일)씨가「교육」
https://newslibrary.[...]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1991-08-14
[2]
웹사이트
김일성 고향이 만경대로 알고 계시죠? 사실은요
https://www.dailynk.[...]
[3]
위키피디아
Лебедев, Николай Георгиевич
:ru: Лебедев, Никола[...]
[4]
서적
金日成 將軍 凱旋記 / 韓載德 著(김일성 장군 개선기 / 한재덕 저)
http://www.nl.go.kr/[...]
민주조선출판사
1947-11-20
[5]
뉴스
金日成(김일성) 政權(정권)수립앞서「ML 주의」학습 / 당시 김일성大(대) 부총장 朴一(박일)씨가「교육」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91-08-14
[6]
뉴스
北韓(북한) 정권수립 산파역 레베제프 死亡(사망)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92-05-16
[7]
문서
김일성 수상께서 손수 레베쩨부 장군에게 메달을 달아드리는 광경
http://archive.histo[...]
국사편찬위원회 전자사료관
2018-01-10
[8]
웹사이트
김일성 고향이 만경대로 알고 계시죠? 사실은요
http://www.dailynk.c[...]
2013-12-26
[9]
서적
「秘錄(비록) :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상하2권
중앙일보사
1992-1993
[10]
뉴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증언 / 미소공위 소 대표 레베데프 사망
http://news.joins.co[...]
중앙일보
1992-05-14
[11]
서적
≪레베데프 비망록 : 대구, 매일신문 1995.1.1.~2.28. 24회 연재기사 全文: 1947.5.14~1948.12.26 기록≫
http://dl.nanet.go.k[...]
해동인쇄사
2016
[12]
뉴스
48년 남북정치협상은 蘇각본 - 蘇 민정사령관 레베데프 비망록
http://news.joins.co[...]
중앙일보
1994-11-15
[13]
뉴스
손세일 전 국회의원, 김구는 북한 가서 대체 뭘 했나?
http://pub.chosun.co[...]
조선 Pub
2014-11-07
[14]
서적
≪비록(祕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앙일보사
1992
[15]
웹사이트
Сделан в СССР
http://www.softmixer[...]
[16]
문서
해외사료총서 10권 쉬띄꼬프일기 > 해제
http://db.history.go[...]
한국사데이터베이스 (국사편찬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